지구와 우주

빠르게 확산중인 미국발 XBB.1.5 변이 바이러스

치킨박사 2023. 1. 5. 14:58

지난해말부터 미국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XBB.1.5 변이가 전세계 곳곳에서 검출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현재 10여건 검출된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요.

 

미국 한인사회에서도 XBB.1.5 변이로 인해 우려를 낳고 있다고 합니다.

아무증상 없었는데 돌연사 해서 부검해보니 사인이 코로나 였다고 합니다.

 

XBB.1.5 변이는 급속도로 중증화 되는것이 특징으로 보여집니다.

감염후 중증도달싯점이 2~3일로 엄청 빠르고 경미한 호흡부전으로 시작해서

빠르게 폐로 흡수되어 코로나 감염을 인지하지 못한채 사망에 이르는것으로 알려집니다.

일각에서는 전세계에서 사망자가 속출했던 델타 버전보다 5배 치명률이 높다고도

합니다.

 

일명 크라켄으로 불리우고 있는데요.

과연 XBB.1.5 변이는 최초 우한 코로나와 알파,델타 및 오미크론 변이와 차이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최근의 연구논문을 살펴보면 XBB.1.5 는 최초 코로나19로 알려진 우한변종과는 확연히

다름을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백신접종 및 감염자의 혈청에 대해 다양한 중화를 보여줍니다.

이는 백신접종자 및 기감염자의 재감염이 쉽게 된다는것을 알려줍니다.

 

결론적으로 변형이 엄청난 속도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 변이체는

단일클론 항체에 의한 면역 및 중화를 피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면역이 있는

집단에서 진화하고 있습니다.

(백신접종율이 낮은 국가에서는 확산되지 않습니다.)

 

바이러스가 세포에 들어가는 수단인 ACE-2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크게 증가하여

중증질환 및 롱코비드 발병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WHO에서는 이 변이를 오미크론 하위변이로 받아들이지만 완전히 다른 변종이라고

보면 됩니다.

 

팬데믹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지금까지의 대유행보다 더 가속화 되고 있으며 백신(감염자) 면역이 효과가 없고

치료적 차원에서도 다시 코로나19 발병 초기로 돌아갈 위험이 도사립니다.

지금 XBB.1.5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징조가 보입니다.

관계당국 및 전문가들은 초기 코로나사태 처럼 모든 방역수칙을 강화하고

재점검 해야할것으로 사료됩니다.

 

https://www.biorxiv.org/content/10.1101/2022.11.23.517532v1.full.pdf